5.1. 한 번에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최고의 프롬프트는 한 번에 탄생하지 않습니다. 마치 동료와 대화하며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듯, AI와 여러 번의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 ‘반복 개선’ 과정 속에서 최적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다소 만족스럽지 않은 결과가 나오더라도 실망하지 마세요. 그것은 더 나은 결과물을 향한 첫걸음일 뿐입니다.1
이 장에서는 실제 업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초기 프롬프트부터 최종 결과물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프롬프트를 단계별로 발전시켜 나가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보여드립니다.
사례 1: 고객 불만 이메일 초안 작성하기
목표: 배송 지연으로 화가 난 고객에게 보낼 진심 어리고 전문적인 사과 이메일 작성
1차 시도: 너무 일반적인 요청
- AI의 결과물: “고객님, 문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와 같이 상황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매우 일반적이고 쓸모없는 답변을 생성합니다.
- 문제점: AI는 어떤 고객인지, 무슨 문의인지 전혀 알 수 없습니다. 맥락이 없으면 AI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2차 시도: 기본적인 상황 추가
- AI의 결과물: “고객님, 배송이 지연되어 죄송합니다. 최대한 빨리 배송해드리겠습니다.” 와 같이 약간 더 구체적이지만, 여전히 기계적이고 템플릿 같은 느낌을 줍니다.
- 문제점: ‘누구에게나’ 보낼 수 있는 답변입니다. 고객의 구체적인 상황이나 감정에 대한 고려가 없어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3차 시도: 구체적인 맥락과 감정 이입 요청
- AI의 결과물: 고객의 특별한 상황(‘결혼기념일’)을 인지하고, 사과와 문제 해결을 넘어 감정적인 공감까지 포함된, 훨씬 인간적이고 설득력 있는 답변을 생성합니다.
- 개선점: 구체적인 상황, 고객의 감정, 원하는 결과물의 톤앤매너까지 상세하게 제공하자, AI는 단순한 정보 제공자를 넘어 감성적인 커뮤니케이터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합니다.
최종 결과물 (AI 생성)
고객님, 소중한 결혼기념일을 앞두고 저희의 약속 지연으로 인해 큰 실망과 걱정을 안겨드린 점, 진심으로 머리 숙여 사과드립니다. 고객님의 속상한 마음을 헤아리니 저희 역시 마음이 무겁습니다.
확인 결과, 예상치 못한 물류센터의 시스템 오류로 배송이 지연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현재 고객님의 소중한 선물은 최우선으로 처리되어 내일 오전 중으로 반드시 도착할 예정입니다.
저희의 잘못으로 기념일 준비에 차질을 드린 점에 대해 어떤 말로도 위로가 되지 않겠지만, 사과의 마음을 담아 다음 구매 시 사용하실 수 있는 30% 할인 쿠폰을 보내드렸습니다.
부디 너그러이 용서해주시길 바라며, 두 분의 특별한 날이 행복한 기억으로 가득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사례 2: 신제품 발표 자료 기획하기
목표: 유통업체 바이어들을 설득하여 신제품 입점 계약을 이끌어낼, 논리적이고 매력적인 20분짜리 발표 개요 작성
1차 시도: 막연한 요청
- AI의 결과물: [서론 - 본론 - 결론] 구조의 매우 일반적인 발표 개요를 생성합니다.
- 문제점: 어떤 제품인지, 누구에게 발표하는지, 목적이 무엇인지 알 수 없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2차 시도: 기본 정보 추가
- AI의 결과물: 제품명과 시간을 고려하여 [제품 소개 - 주요 기능 시연 - Q&A] 와 같은 조금 더 구체적인 개요를 제안합니다.
- 문제점: 여전히 ‘누구를’ 설득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바이어들의 관심사를 자극하기 어렵습니다.
3차 시도: 타겟 청중과 발표 목적 구체화
- AI의 결과물: 청중(‘바이어’)의 관심사(수익성, 시장성)에 초점을 맞춘 발표 흐름을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기술 사양’의 비중을 줄이고 ’목표 시장 분석 및 예상 매출’과 같은 섹션을 추가합니다.
- 개선점: 청중을 명확히 정의하고 그들의 관심사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자, AI는 발표의 초점을 기술 설명에서 ’비즈니스 제안’으로 전환하여 목적에 맞는 전략적인 개요를 구성합니다.
최종 결과물 (AI 생성)
‘헬스가드 Pro’ 유통 파트너 대상 제안 발표 (총 20분)
- 오프닝: 왜 ‘지금’ 헬스케어 워치인가? (3분)
- 급성장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트렌드 및 규모 제시 (바이어들의 관심 환기)
- “오늘, 단순한 스마트워치가 아닌 새로운 시장을 열 제품을 소개합니다.”
- 제품 소개: ‘헬스가드 Pro’, 단순한 시계가 아닌 ‘손목 위의 주치의’ (5분)
- 핵심 기능 시연 (특히, ‘의료진 연동’ 실시간 모니터링 데모)
- 기술 설명은 최소화, 고객이 얻는 ’가치’와 ’안심’에 집중
-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왜 ’파트너사’에 이득이 되는가? (7분)
- 타겟 고객 분석 및 예상 판매량 데이터 제시
- 경쟁 제품 대비 압도적인 차별점 및 예상 마진율 강조
- 초기 입점 파트너를 위한 독점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 제안
- 클로징: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위한 제안 (3분)
- 핵심 가치 요약 및 강력한 행동 촉구 (Call to Action)
- “지금 ’헬스가드 Pro’와 함께 새로운 블루오션을 선점하십시오.”
- Q&A (10분)
반복 개선 실전 체크리스트
더 나은 결과물을 위해 AI와 대화를 이어가고 싶다면, 다음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세요.
Footnotes
AI 도구를 활용하여 초안을 생성하고 사람이 리뷰 및 수정하여 작성했습니다.↩︎